식이섬유란?
소화되지않는 식품중의 고분자 성분의 성체를 말합니다.
식이섬유는 사람의 체내에서는 소화 흡수되지 않기때문에 영양적으로 가치가 무시됩니다.
그렇다면 식이섬유가 건강이란 무슨상관???
식이섬유는 20세기들어부터 서서히 재평가 되기 시작됩니다.
식이섬유는 왜 중요한가?
식이섬유 섭취를 줄이면 대장암 발생위험을 높히게 됩니다.
대장에 변이 머무르는 시간으로 인해 발암물질과 접촉하게되는 빈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분변량(배설량)이 증가하게되고 또한 소화관통과(똥나오는 주기) 시간도 감소하게 됩니다
식이섬유의 종류?
수용성 식이섬유 : 펙틴, 검류, 헤미셀루로오즈
불용성 식이섬유 : 셀루로오즈
수용성 식이섬유는 위장통과시간을 줄이며 포도당 흡수시간을 줄이며 콜레스테롤을 낮춥니다.
주로 사과, 해조류(다시마, 미역, 김 등등), 보리, 귀리 등에 많이 있습니다.
불용성 식이섬유는 배변량을 증가시킵니다
주로 전곡류, 채소에 많습니다.
식이섬유의 효능
대표적으로 열가지가있습니다
1. 변비의 예방과 치료 2. 충수염의 예방. 3. 대장게실증의 예방 4. 대장암의 발생예방 5. 고혈압의 예방과 개선
6. 비만의 예방과 해소 7.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 8.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예방과 치료 9. 심장병예방 10. 콜레스테롤 담석의 예방
변비예방
변의 양을 증가시켜 대장근육자극시킵니다.
대장암 예방
우리나라의 경우 남성 대장암 아시아 1위 세계에서 4위입니다. 그만큼 주의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바로 식이섬유를 먹음으로써 에방할수 있습니다.
당뇨병 예방
당뇨병 유병률은 30세이상 10% 내외로 누구나 주의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당뇨병은 인슐린대사에 문제가 생겨 혈당이 상승하게 됩니다.
당뇨병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시키며 자기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식이섬유는 무슨관계일까요?
식이섬유는 위장을 비우는 속도를 늦춤으로서 포만감을 주어 체중조절에 도움이 되고 식후 혈당수치도 저하시킵니다. 그러므로 혈당조절에 GOOD
특히 수용성 식이섬유의 효능이 당뇨병과 관련이 깊습니다. 오트밀, 보리, 사과, 해조류에 많이있으니 많이먹읍시다.
고지혈증 심혈관게 질환 예방
식이섬유는 소장에서 담즙산과 결합으로 담즙산을 변으로 배설 촉진하고 혈액 내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합니다
간에서의 콜레스테롤 합성 감소효과도 있습니다.
비만예방
식이섬유는 포만감을 주며 영양적으로 흡수가 되지 못하기 떄문에 비만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식이섬유 섭취기준량
식이섬유도 기준량이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나 노인같은 경우 과다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남자 25G 여자 20G
60g 이상 섭취시 오히려 건강에 해로움을 줍니다. 왜냐하면 무기질 흡수를 방해하며 또한 변이 딱딱해져서 배설이 어려움을 겪습니다..
한국인의 경우 평균적으로 갈수록 식이섬유 섭취량이 낮아지고 있다고 하니 (2007년 기준 17.68g) 식이섬유를 먹고 건강해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