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토케미컬 피토케미컬이란? 피토(phyto) + 케미컬(Chemical)의 합성어로즉 식물 + 화학이다우리가 흔히 7대 영양소 (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물, 식이섬유)를 제외한 활성물질을 말한다 피토케미컬이 왜 중요한가? 그렇다 7대영양소도 아닌데 왜 중요한가? 생각할수도 있다 바로 피토케미컬은 항산화작용으로 건강유지와 질병예방에서 큰 도움이 된다 항산화작용은 왜 필요한가? 바로 활성산소라는 녀석때문이다활성산소는 즉 우리가 몸에서 에너지를만들고 남은 산소들중 유해물질로 전환된것을 말하는데 이 활성산소는 주변세포들을 손상을 주고심장질환, 백내장, 암 등을 유발한다 그럼 피토케미컬은 어떻게 흡수하느냐? 바로 다양한 채소, 과일로 흡수한다. 보충제로도 흡수할수 있는데 역시나 과도한 섭취는 부작용이.. 더보기 멱집합 구하기 획기적인 방법이 있다 바로 비트마스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나는 정말 획기적이라고 느꼈다.) 예를들면 원소의개수가 3개 (a, b, c)가 있다치면이걸 비트마스크로 표현하면 000 // 공집합001 // c010 // b011 // b, c100 // a101 // a, c110 // a, b111 // a, b, 이런식으로 모든 부분집합 즉 멱집합을 구할수 있다 소스코드def powerset(s): #배열생성이 generate 방식이다 x = len(s) masks = [1 더보기 빛의 물리학 나레이션이자 다큐의 가이드역할을 하신 정영두님이 검색해보니 안무가였다 ?! 왜 그렇게 느끼는지는 다큐를 보면 알수 있다 여러과학자가 빛을 쫓으며 발견한 과학지식들을 재밌게 설명해준다 특히 이 다큐를보고 영화 인터스텔라를보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대강 이해 혹은 감이온다 이 다큐에서 다루는건 너무 재밌다 빛의 속도 빛의 파장 중력 색깔 아인슈타인 뉴턴 맥스웰 등등 다양한 과학자들을 만나볼수있으며 특히 더 좋았던건 그 과학자들의 생가를 보여주며 그 삶을 보여주는데 여러가지 신선한 충격과 도대체 과학의 끝은 어디인가 그리고 우리가 인지못하는것은 너무나도 많고 너무 복잡한것같다. 더불어 정영두 안무가님의 설득력있는 좋은목소리도 이 다큐에 조미료역할을 해주며 신비롭고 재미있는 다큐였다 더보기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2 다음